I see design as a language that extends beyond function into imagination. When I walk through the streets, I notice how much of the world is shaped by repetition: buildings stacked in strict rectangular forms, crosswalks drawn in predictable black and white. These familiar structures make me wonder why design so often conforms to expectation. Could a building breathe with unexpected geometry instead of rigid cubes? Could a crosswalk invite us with bold color rather than monotony? For me, design is not bound by what has always been done—it is an open question, an invitation to imagine otherwise.
Before studying at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I did not understand what it truly meant to be “inspired.” I thought inspiration could be hunted down in books, images, and archives. The more I searched, the less I discovered. Inspiration arrived instead in an ordinary moment. While designing a smartphone interface and struggling with color arrangements, I looked out the window. The city of Chicago, alive with facades in unexpected hues, offered me a palette I had not considered. In that instant, I realized inspiration is not something we chase—it is something we notice.
Since then, I have learned to find possibility in everything around me. A shadow on the pavement, the rhythm of footsteps, the way glass reflects the sky—each is a starting point. I believe design begins in these small encounters, where the ordinary suddenly reveals new beauty. My practice is built on this way of seeing: transforming what surrounds us into forms that surprise, question, and delight.
I do not want to create designs that simply follow convention. I want my work to challenge assumptions, to reimagine familiar structures, and to remind us that the world holds far more color and vitality than routine allows. Through design, I hope to offer moments of wonder—moments where the everyday becomes extraordinary.
저는 디자인을 기능을 넘어 상상으로 확장되는 언어로 바라봅니다. 거리를 걸을 때마다 세상이 얼마나 반복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지 자주 느낍니다. 겹겹이 쌓인 직사각형 건물들, 예측 가능한 흑백의 횡단보도. 이런 익숙한 구조들을 보며 왜 디자인은 늘 기대와 관습에 맞춰져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건물은 견고한 큐브가 아니라, 더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로 숨 쉴 수 있지 않을까요? 횡단보도도 단조로운 흑백이 아니라, 색채로 사람들을 초대할 수 있지 않을까요? 저에게 디자인은 이미 정해진 답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늘 열려 있는 질문이자 다른 세계를 상상하게 하는 초대장입니다.
시카고 미술대학(SAIC)에서 공부하기 전까지 저는 ‘영감’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책이나 이미지, 자료 속에서 영감을 억지로 찾으려 했지만, 오히려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색 조합에 막혀 있던 어느 날, 문득 창밖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예상치 못한 색을 품은 시카고의 건물들이 새로운 팔레트를 열어주었습니다. 그 순간 깨달았습니다. 영감은 억지로 쫓는 것이 아니라, 그냥 ‘보이는 것’이라는 사실을.
그 이후로 저는 주변 모든 것에서 가능성을 찾습니다. 보도 위의 그림자, 발걸음의 리듬, 유리가 비추는 하늘의 모습—이런 사소한 만남이 디자인의 시작점이 됩니다. 일상 속에서 불현듯 드러나는 새로운 아름다움, 저는 그것이야말로 디자인의 본질이라고 믿습니다. 저의 작업은 이러한 ‘보는 방식’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우리를 둘러싼 사물을 낯설고 새롭게 경험하게 만들며, 질문을 던지고, 기쁨을 불러일으키는 것.
저는 단순히 관습을 따라가는 디자인을 만들고 싶지 않습니다. 익숙한 구조를 다시 상상하고, 당연했던 전제를 되묻고, 세상이 일상보다 훨씬 더 다채롭고 활기차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 싶습니다. 디자인을 통해 평범한 하루가 특별하게 변하는 순간, 작은 경이로움을 건네고 싶습니다.